근시인 사람이 가까운 곳은 잘 보이는 이유 근시는 수정체와 망막 사이가 길어졌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근시는 수정체와 망막 사이가 길어졌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정체와 망막 사이가 길어지면 가까운 곳과 먼 곳 둘 다 잘 안 보여야하는 것 아닌가요? 왜 근시일 때 가까운 곳이 더 잘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상이 맺히는 위치가 먼 곳을 볼 때보다 망막에 더 가깝다고 들었는데 도대체 왜 그런 건가요? 구체적인 설명 부탁드립니다..안녕하세요 안경홈즈입니다.정시는 원거리를 볼시 망막에 초점에 맺히는 경우를 뜻합니다.(근시) 원거리를 볼시 수정체와 망막사이가 길어지면 초점은 망막앞에 위치하게됩니다.하지만 근거리를 볼시엔 가까이보는만큼 초점이 뒤로이동하여 망막에 맺히게됩니다.그래서 원거리에선 잘안보이고 근거리에선 잘보입니다.단순하게 생각하면예를들어 물체랑 초점까지의거리를 (1m로 고정) 가정하로앞뒤로 움직인다고 보시면됩니다.1m로 고정인상태로 멀리물체보다 가까울때 초점위치가 뒤로움직이니깐 그만큼 망막에 가까워지겟죠